전체 글 (23) 썸네일형 리스트형 [슈카월드] 은행은 횡재했나? 근데 주식은 왜... 은행의 이자 이익우리나라 은행의 이자이익이 60조이다. 어떤 혁신을 했길래 이럴 수 있을까? 은행업의 이자이익이 60조를 넘어선 것은 맞다. 전체 은행 시장 금액이며 21년부터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5대 시중은행의 이자 수익은 16년에 21조 20년에 27조, 21년에 29조, 23년에 41조로 상당히 높다. 은행의 이자이익은 왜 매년 증가할까?우리가 주로 생각하는 은행의 이자 이익은 보통 예대 마진이라는 표현을 쓴다. 예대마진이란 대출 금리와 예금 금리의 차이로 금융 기관의 수입이 되는 부분이다. 예금금리 3%로 자금을 조달해서 5% 금리로 대출을 발행해주면 수익이 2%p가 나는데 이것이 예대마진이다. 그러나 은행의 주 수익은 아니다.은행의 주 수익은 순이자마진을 따져야한다. 순이자마진(NIM)은 .. [슈카월드] 엔화는 왜 이렇게 싸졌을까? 심화과정에 들어가보자. 지금까지 우리는 A라는 국가 내에서의 이야기를 했다. 금리를 정함으로써 돈의 가치가 왔다갔다 한다는 거, 통화 정책 등의 이야기를 했다. 그러나 세계는 하나의 나라로 이루어져있지 않다. 예를 들어 A 나라와 B 나라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A 나라는 기준 금리를 1%에서 올려 5%로 정했다. B 나라는 1% 그대로 두었다. 어느 나라의 돈의 가치가 비싸진 것일까? A 나라의 돈의 가치가 올라간 것이다. 그러면 A 의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 A가 대표적으로 미국이고, B가 일본이다. 심지어 일본은 거의 0%이다. 그러다보니까 어떻게 되는가? 달러 환율이 올라가는 것이고 엔화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달러로 돈을 받는 데는 엄청 좋아진다. 환율이 결정되는 이론과 상황은 엄청 다양하게 있.. [슈카월드] 금리의 기초 초등학교 교실에서 이루어질 법한 아주 쉬운 금리의 기초 수업! 금리가 뭘까요?금리는 돈의 가치이다. 100원짜리는 100원이라고 써있고, 1000원짜리는 1000원이라고 써있는데 왜 돈의 가치가 달라지는가? 쉽게 물가 상승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놀랍게도 물가 상승을 배제하더라도 그때그때 돈의 가치는 달라진다. 코로나 이전에 2020.05 기준 한국은행 기준 금리가 0.50%였다. 2024년 4월 기준 금리는 3.5%이다. 이 말은 은행에 1년동안 예금을 할 경우 이자율이 2020년에는 0.5%, 2024년에는 3.5%라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2020년과 2024의 1000원의 가치가 같은가? 다르다! 2024년일 때 기대수익률(이자율)이 더 높기 때문에 2024년일 때 더 가치가 높다고 할 .. [슈카월드] 국민연금 개혁, 쉽게 이해하기 국민연금의 문제는 무엇이고, 해결은 되는 걸까?해결이 되는 문제이다. 2024년 1월 기준 연금특위공론화위원회를 출범할 예정이다. 시나리오별로 20안이 있다. 이 중에 어떤 것으로 정할 것인지 논의하는 일을 하고 있다.현재 국민연금은 지속불가능성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현행은 9%를 걷고, 소득대체율(가입기간 벌었던 평균 소득 대비 받게 될 연금 수령액의 비율) 40%를 보장하고 있다. 이렇게 소득대체율에 맞추어 연금을 지급하는 것을 모수개혁(보험료유로가 소득대체율의 수치를 조정하는 것)이라고 한다. 인구 피라미드가 잘 형성되어 있다면 문제가 없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 구성이라면 9%를 내고 40%를 받을려면 수지가 안 맞게 되는 것이다. 이는 국민연금이 그동안 모아둔 기금의 소진을 의미한다. .. [슈카월드] ELS? CMA? 어떤 상품을 사야 해요? 파생상품의 이해 이어서, ELSELS란 상당히 복잡해보이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채권+파생으로 되어있는 상품이다. 이렇게 보면 안전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파생이 문제이다.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기 떄문이다.원금보장형 ELS라는 것이 있다. 100억이 들어오면 100억으로 채권을 산다. 5% 수익률이라 가정하면 5억의 이자가 들어오는데 이 이자로 파생상품을 하는 것이다. 최악의 경우 5억이 0원이 될 수 있지만 원금은 보장된다는 컨셉이다.그러나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기 때문에 채권의 비율은 점점 내려가고 파생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기대수익률은 올라가지만 리스크가 커진다. 그렇기 때문에 이 비율을 다양하게 한 다양한 유형의 ELS 상품이 탄생하게 된다.ELS가 나쁜 상품은 아니다. ELS 상품을 '중위.. [슈카월드] 공매도 치다 쪽박 찬 슈카쌤~ 해외선물이 어려운 이유가끔 해외선물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해외선물은 더 어렵다. 차라리 원달러 환율이 낫다. 해외선물을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해외에서 들어온 거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이 지연폭이 몇 초이상으로 컸다. 대부분의 해외 선물은 WHY? 가 붙는다. 왜 오르는지, 떨어지는지 모른다. 이유를 모르는 시장에서 내가 승자가 되어야 하는 게임이라는 것이다. 심지어 유럽/미국 시차에 맞추어 해야하기 때문에 밤낮도 바뀌게 된다.가끔 어떤 상품, 펀드 등을 들어가게 될 때 내가 갖고 있는 상품(ETF 등)이 기초자산인지 파생 상품인지 잘 살펴보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 파생인지 모르고 사게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파생상품은 기초자산보다 훨씬 많이 오르거나, 떨어지게 .. [슈카월드] 파생 선물? 파생 선물이 무엇일까?누구나 다 안 다고 생각했지만, 모를 수도 있는 이야기 시작! 기초 자산이라는 것이 있다. 주식, 채권, 금, 부동산 등등이다. 이 기초자산을 대상으로 어떤 금융상품들이 많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선물, 옵션, SWAP 등이 있다. 이것들이 파생 금융 상품이다. 부동산이 파생 금융 상품을 잘못 만들었다가 난리난 사건이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이다. 기초 자산에 비해 파생상품은 레버리지가 있다. 수익률을 우리가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주식이 수익률이 10%일 때 파생 상품의 수익률은 몇 배일까? 정하기 나름이다. 주식의 수익률에 N배를 하겠다하는 것이 계약하는 것이기 떄문이다. 파생상품은 왜 만들었을까?주식이 -10%가 되었을 때 위험을 누군가한테 넘길 수 없을까.. [슈카월드] 우리의 투자는 왜 어려울까 투자가 어려운 이유투자를 할 때 보통 PB 센터나 증권사에 갔을 때 투자 성향 등 다양한 것을 체크 하지만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투자 목적과 2. 투자 기간이다. 왜냐하면 이 두가지가 투자를 굉장히 많이 가르기 때문이다. 원래 기본 적인 투자의 목적은 노후 대비 등등을 위해서 자산의 꾸준하고 적절한 수익률을 가지는 것이다. 우리가 투자를 어렵게 생각하는 것은 이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청년의 투자목적은 1. 집, 2. 결혼이다. 이 집이나 결혼은 대단히 빠른 시기에 필요하다. 집과 결혼은 목적이 단기이기 때문에 고수익률을 원하게 된다. 전체 자산의 수익률 10%를 10년동안 유지할 수 있다면 엄청나게 대단한 것이다. 사실상 불가능한 목표에 가까운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가 상..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