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슈카월드] 알아야 더 돌려받는 연말 정산

반응형

소득공제 받는 방법

A X r = T ( A : 과세표준 = 소득, r : 세율, T : 결정세액 = 세금)에서 A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부양 가족

부양 가족은 한 명당에 따라서 달라지게 달라지게 된다. 이때 소득 공제이므로 소득이 높은 사람에게 부양 가족을 몰아주는 것이 낫다. 남편이 5000만원 벌고, 아내가 1억을 번다고 한다면 1억 버는 아내에게 몰아주는 것이 더 공제를 많이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5000만원 버는 남편 1억 버는 아내  
부양 가족 1 1  
부양 가족 2 0  
부양 가족 0 2 **** 정답

 

2. 주택 청약

3. 무주택자 (주택임차차입금 - 40% 공제)

4. 노란우산 공제

5. 소비

기업의 비용 비슷한 개념이다. 사용한 금액을 빼고 세금을 산정하는 것이다. 신용카드 사용의 경우 공제는 세금을 총 급여액의 25%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하여 공제를 받게 된다. 7천 만원 이하는 최대 300만원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총 급여액이 5000만원이라고 하면 25%에 해당하는 1250만원 이상 신용카드를 사용하였을 때 300만원 공제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소득이 4700만원으로 산정되는 것이다. 미친듯이 써서 급여액의 대부분을 썼다고 하더라도 300만원 한도가 있기 때문에 4700만원 X 세율에 해당하는 세금을 납부하여야 한다. 

신용카드 외 체크카드 등의 소비도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다. 그 공제율은 아래 표와 같다.

 

현금영수증과 체크카드의 공제 한도가 더 높지만 신용카드의 경우 카드 회사에서 주는 혜택이 크기 때문에 잘 따져봐야한다.

6. 우리사주

우리사주조합이란 근로자가 자기 회사의 주식을 취득해 보유 및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결정한 조합이다. 우리사주도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세액 공제 받는 방법

A X r = T ( A : 과세표준 = 소득, r : 세율, T : 결정세액 = 세금)에서 T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1. 근로소득세액공제

2. 자녀세액공제

첫째 30만원, 둘째 50만원, 셋째 이상 70만원 공제를 받을 수 있다. 8세 이상 자녀일 경우 15만원씩 더 공제를 받을 수 있다.

3. 연금저축

IRP, 연금저축펀드 등은 세액 공제가 가능하다. 500만원 한도 세액 공제라고 한다고 해서 500만원을 공제해주는 것은 아니다. 500만원 X 공제율 한 금액을 공제해주는 것이다. 마케팅 한다고 500만원 한도 세액공제라고 하는 것인데 헷갈리면 안 된다. IRP 세액 공제 한도는 700만원에서 900만원으로 증가하였고, 연금저축 세액 공제 한도는 400에서 600으로 증가하였다. 그렇다고 따로 따로 적용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900만원인 것이다. 공제율에 따라 공제 금액은 다음 표와 같다.

총 급여 세액공제율 최대세액공제 금액
5,500만원 이하 16.5% 148만 5천원
5,500만원 초과 13.2% 118만 8천원

 

4. ISA 계좌

ISA 계좌는 비과세 계좌이기 때문에 혜택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개인연금저축으로 옮길 시에 ISA 납입액의 10%(300만원 한도) 추가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

 

 

5. 보장성 보험

6. 의료비

7. 산후조리원

총 급여액의 3%를 초과한 금액에 대하여 공제를 해주기 때문에 오히려 소득이 낮은 사람이 받는 것이 유리하다. 이런 경우에서 소득 공제와 세액 공제를 잘 따져봐야 하는 것이다.

8. 교육비

9. 기부금 (정당, 고향사랑, 종교 등)

10. 월세

총급여액 7000만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대상으로 750만원 한도 17% (총 급여액 5500만원 초과일 경우 15%)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연말 정산에서 놓칠 경우 5월 종합소득세 신고에도 가능하다. 5년까지 가능하다. 이것을 경정청구라고 한다.

11. 중소기업취업자 소득세 감면

 

이렇게 소득 공제와 세액 공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워낙 다양하다보니 주요 몇가지만 알아보았는데, 소득 공제와 세액 공제의 차이점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절세 받으려고 뭘 하는 것은 낭비이다. 뭘 해야하는데 절세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