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슈카월드] 우리의 투자는 왜 어려울까

곰우공 2024. 11. 21. 20:19
반응형

투자가 어려운 이유

투자를 할 때 보통 PB 센터나 증권사에 갔을 때 투자 성향 등 다양한 것을 체크 하지만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투자 목적과 2. 투자 기간이다. 왜냐하면 이 두가지가 투자를 굉장히 많이 가르기 때문이다. 

원래 기본 적인 투자의 목적은 노후 대비 등등을 위해서 자산의 꾸준하고 적절한 수익률을 가지는 것이다. 우리가 투자를 어렵게 생각하는 것은 이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청년의 투자목적은 1. 집, 2. 결혼이다. 이 집이나 결혼은 대단히 빠른 시기에 필요하다. 집과 결혼은 목적이 단기이기 때문에 고수익률을 원하게 된다. 전체 자산의 수익률 10%를 10년동안 유지할 수 있다면 엄청나게 대단한 것이다. 사실상 불가능한 목표에 가까운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가 상당히 어려운 것이다.

 

청년들의 현실

예시를 들어보자. 자본금 3천만원이고 기간 3년, 목표금액 4억, 대출 2억이면 필요한 돈이 1억 7천이다. 당연하게도 단기에 고수익률을 원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고수익률을 추구하게되면 하이리스크로 돈을 결국 잃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배운 것과 실제 시장에서의 괴리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본투자의 목적만큼 장기간동안 일정한 수익률을 이루는 것은 의외로 쉽다. 앞서 말햇듯이 분배를 하고 포트폴리오를 짜면 되는 것인데, 기간을 단기로 가지고 가게 되니 힘들게 된다.

결국은 투자로 집과 결혼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나. 우선 첫 번째는 목표 금액을 낮추는 것이다. 그러나 평균 서울 집값은 12억이다. 청년은 절반은 5, 6억이라고 쳐도 굉장히 큰 금액이다. 특히 최근에는 청년이 사회에 진입하게 되는 나이가 점점 늦춰지면서 투자할 수 있는 기간이 더 짧아지고 있다. 그래서 이를 당겨줄 수 있는 청년 정책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청년들이 사라지고 있다.

또한, 이렇게 취업은 밀리는데 목표 금액은 점점 커지는 상황이다보니 결혼, 출산이 점점 늦어지게 되고 둘째가 없어지게 된다. 30대 중반에 결혼하게 되니까 애기가 많아도 1명밖에 안 되는 것이다.  더 놀라운 것은 퇴직 연령은 약 49세로 늘어나지 않았다. 그렇다보니 수익률이 더 높아져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예전보다 많이 저성장 하는 사회로 수익률은 자꾸 낮아지고 있다. 

 

청년들이 사라진 이유

경제 금융적으로 봤을 때 20대는 사라졌다. 슈카 뇌피셜로 청년 사회 진출이 늦어진 이유는 늘어난 임금격차이다. 임금 격차가 벌어지다 보니 시간이 걸려도 대기업에 가고 싶은 것이다. 아니면 '사'자 직업을 원한다. 그래서 우리나라 중소형 제조업체, 조선업, 건설업 등은 항상 사람이 부족하다. 그러면 급여를 맞춰주면 되지 않느냐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산업군 자체가 높은 급여로는 경쟁력을 갖출 수 없는 산업 구조를 가진 산업군이기 때문에 거의 불가능한 이야기이다. 즉, 인건비로 경쟁해야하기 때문이라는 이야기이다. 이 산업들이 조금 더 고임금으로 갈 수 있도록 산업구조조정을 했었어야 했던 것이다. 아니면 압도적인 경쟁력을 올렸어야 했다. 2000년 초반부터 산업구조조정 이야기가 나왔으니, 20년된 이야기이다.

심지어 대기업이나 고임금 일자리로 못갈 경우 그냥 알바나 하는 게 더 낫다는 청년들이 증가하면서 청년들이 사라지고 있다. 그러나 약간의 다행스러운 것은 2000년부터 조금씩 IT 기업들(카카오, 네이버 등)이 등장하면서 서비스업 고임금 일자리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금융, 바이오, 스타트업 등이 빨리 고임금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는 시기이다.

 

사회진출이 점점 느려지는 것을 당길 필요가 대단히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도 청년 고용 혜택은 있으나 조금 더 강력하게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농부가 아무리 급하다고 하더라도 씨는 먹지 않는 것과 같다. 씨를 꼭 뿌려야 한다!!!!

반응형